all about176 가난을 혐오하는 시대 고립돼서 각자 가난을 겪는 2021년의 은강 사람들은 예전보다 훨씬 주눅이 들어있다. 이나 시절까지도 가난이 그렇게 부끄러운 것만은 아니었다고, 김(중미) 작가는 기억한다. "가난이 청렴결백의 상징이었던 시절까지 거슬러 올라가지 않아도, 내가 하는 노동에 대한 자부심, 거짓 없이 몸을 놀려서 이만큼 먹고 산다는 떳떳함이 있었어요." 지금은 아니다. 가난이 혐오의 대상이 되었다. 임대아파트에 사는 사람들을 조롱하고 온갖 말에 다 '거지'를 붙여대는 말장난에 거리낌이 없는 사회다. 세상도 그러하고 가난한 이들 스스로도 내면화했다. "지금은 가난에 대해 입에 담는 걸 힘들어해요. 부끄러워하고 상대적 박탈감을 더 깊이 느껴요. 자기 탓이 아닌데도 가난을 수치스러워하고, 목소리가 더 잦아들었어요." (...) 1.. 2021. 5. 8. 감염병과 인권 (...) 이번 논란(서울시의 외국인 노동자 코로나19 검사 의무부과 행정명령)이 감염병과 인권 사이에 얽힌 너무나 복잡하고도 중차대한 함의와 과제를 품고 있다. 첫째, 이번 일을 통해 지난해 유행 초기부터 굳건히 이어져온 우리나라 코로나19 방역정책의 방향이 여실히 드러났다. 여전히 어떤 '환경'이 아닌 어떤 '사람'을 중심으로 바이러스의 확산을 인식하고 정책을 만들어나간다는 사실이 또 한번 증명되었다. 이번 행정명령들은 2월 중순부터 남양주/동두천/평택 등 수도권 지역 영세 사업장에서 집단감염이 발견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감염 사례의 공통점은 사업장들이 모두 좁고 거리두기가 안 되고 환기가 안 되며, 마찬가지로 열악한 환경의 집단 기숙사에서 노동자들이 숙식을 해결한다는 점이었다. 확산의 불길을 잡기 .. 2021. 3. 31. 어느 메모 작은딸의 아주 서투른 자전거 타는 모습에서 큰 사랑을 느낀다. 아니 두발을 페달에 조차 동시에 올리지도 못하고 거의 걷다시피 하며 배울려고 하는 노력이 더욱 사랑스럽다. 어느새 납작코에는 땅방울이 맺혀 가을햇살이 그곳에서(?) 반짝이고 있다. 한가한 여의도 광장이 크게 보인다. 오늘 작은딸의 개교기념일을 이렇게 한가하게 보낸것이 잘한일이라 생각한다. 작은딸은 엄마와의 외출도 좋고, 자전거 타기를 하니 더욱 좋고, 친구랑(서지연) 오니 더욱더 좋은지 무척 행복해 보인다. 글을 쓰다 둘러보니 딸애들이 안보인다. 저 밑까지 자전거와 같이 걸어갔나(?)보다. 작은딸이 스스로 꼭 배워서 자전거로 광장을 휘젓는 모습을 보고 이곳을 떠났으면 좋겠다. (30분 후쯤 성공!!!) 나는 딸들을 무척 사랑한다. 가을 하늘 .. 2021. 1. 14. 2021 토론극장: 우리_들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0. 12. 29. 기후위기 <2050 거주불능 지구> "우리에게 차선책으로 택한 행성(Planet B)이 없기 때문에 두번째 계획(Plan B)도 있을 수 없다" -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 2014년 뉴욕 열린 기후변화주간 회의 2016년 지구온난화로 러시아 영구동토층이 녹으면서 75년 전 탄저병으로 사망했던 순록 사체가 노출되어 탄저균 감염으로 소년 한 명이 사망했고, 순록 수십만 마리가 도살당해야 했다. 세계은행은 2030년이면 36억명에 달하는 사람이 말라리아로부터 자유롭지 못할 것이라 예측했다. 1980년부터 2010년 사이의 내전 가운데 23%는 기상 재난이 닥친 시기에 벌어졌다.유엔은 2050년에 아프리카/아시아 등에서 기후 재난으로 난민 2억명이 발생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 데이비드 월러스 웰즈(김재경 역), , 추수밭 -p.63, 시사인.. 2020. 12. 26. 감정사회학 리서치 www.hani.co.kr/arti/culture/book/726318.html 소리 없는 힘 ‘감정’에 주목하다 다수 구성원의 ‘감정적 분위기’는 거시적 사회변화의 숨은 동력 ‘합리성 패러다임’ 보완역할 모색 www.hani.co.kr 잭 바바렛 외, // 서평: 감정은 사회를 어떻게 움직이는가(박형신, 정수남) joonynlp.tistory.com/20 서평: 감정은 사회를 어떻게 움직이는가(박형신, 정수남) 2016년 여름학기 현대사회학이론 수업에서 과제로 제출한 서평. 기존의 감정사회학 연구와 결은 좀 다르지만 아즈마 히로키의 일반의지 2.0이 생각났다. 왜냐하면 첫째로 이 책에 실린 감정사회 joonynlp.tistory.com 2020. 11. 26. 예술과 정치 클레어 비숍은 최근의 글에서 오늘날 공동제작 예술을 제약하는 몇몇 문제들에 주목했다. 하나는 "예술"과 "정치" 사이의 괴리가 너무 부풀려져서, 어느 한쪽의 가치가 이데올로기적으로 분리된 다른 한쪽에서 보면 서로에게 완전히 상반되는 것으로 보일 지경이라는 점이다. 심미주의자들은 "공동체 미술"을 별로 매력없고 추하기까지 한 "사회적 작업"으로 보는 반면, 공동체의 합의에 무엇보다 가치가 있다는 관점을 고수하는 이들은 고급양식으로부터 회의적 상상력에 이르기까지 예술에 관한 고찰을 엘리트주의적 과업으로 본다. 그녀가 정확히 지적하듯 이들 혐오감은 윤리성이라는 추상적 개념을 포괄한다. 이런 사고방식이 편견에 따라 정반대의 결과를 내놓는다는 것은 놀랍지 않다. 문제가 되는 것은 바로 반대 범주로의 구분이다. 이.. 2020. 10. 26. 누스바움의 혐오 - 고현범, , 『철학탐구』제43집, 05, 2016 대개 혐오는 주로 관념적 요소에 의해 유발되는데 이는 대상이 “무엇인지 혹은 그것이 어디에 있었는지, 무엇과 접촉했는지에 관한 관심”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혐오는 감각적 요소에 의해 유발되는 부정적 반응인 기피나 해로운 결과가 예상되어 거부하는 위험(에 대한 지각)과 구별된다. 예를 들어 독을 제거한 복어처럼 위험이 제거되면 위험한 대상은 먹을 수 있지만 사람들은 살균시킨 바퀴벌레 가루를 먹으려 하지 않는다. 즉 혐오스러운 대상은 신체 손상의 위험이 사라진다 고 해도 여전히 혐오스럽다. - pp.140-141. 로진(Paul Rozin)은 동물과 관련된 대상들이 혐오를 유발하는 핵심적인 대상으로 작용하는 것은 "인간과 인간이 아닌 동물 또는 우리 자신.. 2020. 10. 5. 비혼이란 “단순히 비혼이 ‘결혼하지 않기로 선택’한 것은 아니”라고 했다. “정해진 인생의 트랙, 당연히 언젠가는 결혼할 것이라는 시각, 결혼을 하려면 연애는 끝낼 수밖에 없다는 편견, 신혼부부만을 위한 또는 정상가족만을 위한 정책, 여기에 동의하지 않겠다고 하는 정치적인 입장입니다.” (황희재) 원문보기: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885218.html#csidx37e8209c209db539fdb5102d901a56d 2020. 10. 5. 무섭다고 느낄 때 새벽에 물어보았다, 세상이 무서울 때가 있냐고. 아무렇지도 않은 듯 대답했다. "나는 항상 무서운데?" 어제는 갑자기 모든게 무서워져서 밤잠을 제대로 이루지 못했다. 내가 당연하다고 생각했던 모든 것들이 사실은 내 정신승리일 뿐이고 회피했던 실상은 천천히 어그러지고 있는 것은 아닐까 라는 부정적인 생각에 휩싸여서 말이다. 여전히 나는 어리광만 부리는 어린아이인것만 같고, 나를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투정만 부리면서 내가 하고 싶은대로 해버리는 건 아닐지. 정작 그들이 어떤 상태인지 살피려 하지도 알려고 하지도 않고 말이다. 그러다가는 모든걸 놓치게 되고 후회하는 날이 올 것이다... 사람뿐만 아니라 내가 하는 일들도 집중하지 못할 뿐더러 특출난 능력도 없는 쭈구리인것 같은 기분. 그럼에도 불구하고 뭔가 머리.. 2020. 7. 20. 오랜만에 높은 굽 오랜만에 높은 굽을 신었다. 이동하는 한시간 정도 사이에 물집이 잡히고 피부가 쓰리더니, 목적지에 도착할 때 즈음엔 이미 터져서 피부 안에 속살이 보이는 지경이 되었다. 아파하는 나를 위해 밴드를 사다 준 MJ를 보면서 9-6 생활을 하던 회사원 시절이 생각났다. 그때에는 이벤트가 종종 있었고, 그런 자리에 가기 위해서는 높은 굽을 신어야만 했었다. 물론 누가 시킨건 아니지만 그런 자리에 어울리는 그런 룩에는 당연히 신어야만 할 것 같은 신발이 있다. 행사가 끝나면 아픈 발을 부여잡고 그런 생각을 했던거 같다. "이 신발은 나와 어울리지 않아. 이런 자리도 불편하고 싫어. 이 곳은 나와는 다른 사람들 투성이고..." 어린 마음에 한 투정같은 생각이었지만, 내가 있어야 할 자리를 찾고자 하는 것은 20대와.. 2020. 6. 29. 일본군 '위안부' 증언의 시작 1990년 1월 윤정옥 전 이화여대 교수가 에 '정신대 원혼 서린 발자취'라는 글을 4회에 걸쳐 발표했다. 그는 식민 지배가 끝난 후 드러난 피해자 가운데 자기 또래 여성의 흔적이나 목소리를 찾을 수 없다는 점이 의아했다고 한다. 1980년 윤전 교수는 소문으로만 존재했던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배봉기씨를 일본 오키나와에서 직접 만났다. 이후 10여 년에 걸쳐 일본은 물론 중국과 타이 등지에 흩어져 있는 피해자들을 수소문해 관련 증언을 수집했다. 국내에도 드러나지 않은 피해자가 분명 있으리라 짐작됐다. 그해 11월 16일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해 37개 여성단체가 모여 한국정신대문제대핵협의회(정대협)을 만들었다. 1991년 8월 14일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김학순씨(1997년 작고)가 정대협을.. 2020. 6. 9. 이전 1 2 3 4 5 6 ··· 15 다음